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혜택

상강 풍습, 상강의 뜻 알아봐요 (10/23 상강)

by 핫식스를 마시고 2021. 10. 23.

오늘 10월 23일은 24절기 중 상강에 속한다고 하는데요, 상강이라고 하니 상당히 낯섭니다.

상강의 뜻, 상강 풍습과 아름다운 우리 문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상강+풍습

상강의 뜻 (24절기 중 18번째 절기)

상강은 한자로 霜降, 서리 상에 내릴 강자를 쓰며 말 그대로 서리가 내린다는 뜻입니다.

날이 조금씩 추워지면서 이제 새벽에 서리가 내리는 계절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음력으로 보는 24개의 절기 중 18번째 절기에 속합니다.

실제로 오늘의 날씨는 그래도 햇볕 아래서 따땃하게 느껴지지만,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크기에 감기나 체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상강+풍습

상강은 음력 9월인데, 일반적으로 양력으로 10월 23일~24일이라고 하네요.

상강이 지나면 이제 가을도 막바지고, 곧 겨울이 온다는 것을 뜻합니다.

 

 

상강 풍습과 상강 전통음식

상강이 온다는 것은 가을의 막바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울긋불긋 화려한 단풍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가을을 대표하는 국화의 계절이기도 하여 우리 선조들은 상강 무렵이 되면 단풍과 국화를 감상하고, 곁들여서 국화주와 국화전을 즐겼다고 합니다.

상강+풍습

실제로 10월 말이 되면 전국 유명한 산들은 울긋불긋 단풍옷을 갈아입는데요, 단풍으로 유명한 내장산은 이미 관광객으로 인산인해라고 하죠? 그만큼 풍경이 아름답다는 것이니,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바람 쐬고 운동할 겸 등산을 가도 좋을 것 같습니다.

상강+풍습

상강은 추수동장을 하는 시기

요즘 이아 난방시설이 잘 되어 있지만, 옛날만 해도 상강이 지나면 이제 겨울이기 때문에 농사를 하던 선조들은 남은 추수와 곡식들을 저장하여 추운 겨울날 먹거리를 미리 준비하는 추수 동장을 했다고 합니다. 

 

또한 추수동장을 마치고 나면, 마을의 수호신들에게 감사를 드리고 내년에도 풍성한 수확을 위한 제사와 고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상강+풍습

이상, 상강의 뜻과 풍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댓글